팝업닫기
찾으시는 내용이 있으신가요?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과공지
`비교과 아이디어 프로그램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비교과 아이디어 프로그램 공모전

-국제비서학과 12학번 최영재 (개인)-


`비교과 아이디어 프로그램 공모전`은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비교과 관련 활동에 대한 재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공모전입니다.

국제비서학과 12학번 최영재 학생이 2월 17일, 교내 비교과 통합지원센터에서 주최한 `비교과 아이디어 프로그램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입상하였습니다.



25435e6b.jpg


326d5aec.jpg

[응모작 설명서]


응모명 - Reading! Running! Changing! (이하 `RRC`)


지원서에도 언급했듯이 취업과 스펙에 대한 단편적인 생각으로 진리의 상아탑이여야 할 대학교가 취업을 위한 발판정도로 생각 되고 있습니다. 자신 스스로 누구인지 묻지 않고 생각하게 되지 않아 자아도 잃어 버렸습니다. 일상 대화 속에서는 연예와 스포츠에 관한 이야기뿐입니다. 책을 읽고 있는 사람을 보면 공부하지 않은 한량으로 한심하게 생각하고 책으로 인생을 변화 시킨다는 말에는 그저 백면서생취급하면서 손가락질 하곤 합니다. ‘취업이라는 근시안적인 목표로 인해서 독서는 등한시되고 설계 없이 인생이라는 그림을 그리고, 나침반 없는 개척자처럼 혼란스러워 합니다. 이런 대학생활을 보며 저는 무척이나 개탄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이 공모전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위의 허울 좋은 말들과는 달리 부끄럽지만 저 또한 그런 사람 중 하나였습니다. 제가 입학한 국제비서학과도 취업이 잘 된다는 소식을 듣고 선택했었습니다. 그렇게 입학 후 1년 동안 그저 취업을 위한 스펙을 쌓다가 군 입대를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국군교도소라는 곳으로 배정을 받아 군 수감자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곳의 수감자들은 수감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의 여유가 없어 공격적인 성향을 띄었습니다. 소심한 성격이였던 저는 수감자들은 왜 저럴까 욕하며 스트레스를 받으며 하루하루를 지냈습니다.

그 후, 우연한 기회에 ‘100감사로 행복해진 지미이야기라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100감사를 쓰면 나의 현재가 풍요로워 진다는 내용 이였습니다. 군 생활이 너무 힘들었던 저는 절박함속에 속는 셈치고 따라해 보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러자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의미 있고 커다란 결과에만 감사하던 제가 나 자신이 현재 존재할 수 있는 필연들, 필연들 가운데 존재하는 순간순간마다의 우연들 즉, 사소한 과정들에 감사하게 된 것입니다. 커다란 것들에서 사소한 것들로 감사 대상을 바꾸자 제 삶은 감사한 것들로 넘쳐났습니다. 제 자신에 대해 100감사를 쓰고 난 뒤, 저는 자존감이 높아졌고 소심함은 자신감으로, 자신감은 관대함으로 이어졌습니다. 달라진 저는 수용자와 원만하게 지낼 수 있게 되었고 이를 주의 깊게 살펴보신 교도소장님과의 면담을 통해 소장님께서는 제가 100감사를

변화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저에게 수용자 및 간부/장병들을 위한 강연을 부탁하셨습니다. , 강연에서 감명 받으신 중대장님께서 국방일보 ‘100감사를 주제로 한 사설을 투고 하는 것을 권유 하셨고, 감사하게도 국방일보에 게시 되는 영광을 얻었습니다. 소심해서 스트레스 속에 살던 제가 자신감이 넘쳐 관대함으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그리고 또 감사하기를 권유하는 교도소의 감사 전도사가 된 것입니다. 저의 이러한 감사하기를 통해 상대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여 인간관계를 회복하였고, ‘감사하기 전파하기를 통해 제가 속한 사회에 긍정적인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책 한권이 저의 21개월의 군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많은 사람들 앞에서 강연하게 하고 신문에 나의 글이 게시 되는 삶의 변화를 얻었습니다.

제 경험을 통한 사례에서 보듯이 다른 학우들 또한 독서를 통해서 많은 변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했던 방법을 기반으로 과정을 정해 보았습니다.

방법(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책을 00권 선정하거나 자유선택으로 지정한다.

2. 책을 읽고 책에 대한 자신의 생각 그리고 앞으로의 자신의 행동을 간략하게 서술한다.

(독서의 Reading 과정)

3. 앞의 2번에서 자신이 적었던 행동들을 일정기간동안 실천한다. (독서의 Running 과정)

4. 앞의 3번의 실천과정 후 자신의 삶에 대한 변화과정을 작성한다.

(독서의 Changing과정)

5. 실천과정/변화과정/느낀점 등을 종합적으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6. 공모 받은 우수작을 대상으로 자신의 경험을 강연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이 목표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공모전을 통해 독서에 대한 관심 고취 및 장려

2. 장기적으로 독서하는 습관

3. 독서의 효과에 대한 재인식

4. 실천을 통해 수동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주체로써 행하게 함.

5. 독서 Running (실천과정)을 통한 Learning (배움) => ‘실천하는 독서’의 중요성 환기

6. 공모전 당선 학우 강연을 통한 독서 장려의 ‘승수효과’

‘명상으로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얻을 수 있어도, 세상의 소식을 듣고 전할 수는 없다.’

기자들이 흔히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위의 인용한 말처럼 기자들이 그저 책상에 앉아서 생각만 했다면 세상의 살아있는 소식을 세상에 전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최근 주변을 보면 어떠한 글을 읽어도 생각하지 않고 ‘그냥 그런가보
다‘ 하며 생각조차하지 않는 학우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학우들을 위해서 ‘독서’를 통해 생각하게 하고 ‘실천하는 독서’를 통해서 생각을 실
천하게 하여 삶에 있어서 작은 ‘변화’를 이루어 냈으면 합니다.

교과적인 부분에서 벗어나 비교과 프로그램을 구성해 나가면서 좀 더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시야가 넓어지는 좋은 경험이었다고 합니다. 추후에 최영재 학생이 기획했던 이 프로그램이 교내 ACE 프로그램으로 구현 된다면 정말 기쁠 것 같습니다.


최영재학생의 최우수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최고관리자2016. 2. 22조회수1,671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